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36

파이썬 공부 요약 노트 5. 문법 정리 (1) 문자열 출력

https://dojang.io/ 파이썬 코딩 도장에서 기본 문법부터 다시 천천히 공부하고 있어요. 코딩 도장의 강의와 정리가 무척 잘 되어있으니 참조하실 분 참고! 코딩 도장 dojang.io 변수 여러 개 만들기 >>> x, y, z = 10, 20, 30 >>> x 10 >>> y 20 >>> z 30 변수 값 바꾸기 >>> x, y = 10, 20 >>> x, y = y, x >>> x 20 >>> y 10 input 값은 모두 str 문자열. 사칙연산을 하기 위해서는 정수 혹은 실수로 변환해야 한다. a = int(input('첫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 int를 사용하여 입력 값을 정수로 변환 b = int(input('두 번째 숫자를 입력하세요: ')) # int를 사용하여 입력 ..

파이썬 공부 요약 노트 4. 예외, 오류

● 오류의 종류 - 구문 오류 : 문법이 잘못 되어서 실행할 수 없는 문제 -> 코드를 다시 써야 해결 된다. - 실행 예외 : 문법은 맞지만 논리가 잘못 되어서 실행할 수 없는 문제 -> 예외. 앞뒤로 코드를 추가해서 대응할 수 있다. (예외처리) - 예외 처리 : 실행 예외에 대해서 대응하는 기법 ●기본 예외 처리 try : 예외가 발생할지도 모르는 코드 작성 except : 만약 예외가 발생하면 어떻게 할지 작성 else : 예외가 발생하지 않으면 발생하는 코드 ● except 는 각 예외 상황 별로 출력을 정할 수 있음 ● try에서 예외가 발생하는 것은 반복문에서 break가 발생하는 것과 동일하게 try는 끝난다. 오류가 두 건 발생한다면 가장 위에 있는 코드의 에러 구문만 출력하고 멈춘다. ..

파이썬 공부일지 21. key 키워드 매개변수(min, max)

리스트에서 min()함수와 max()함수로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만약 상품명과 가격이 담겨 있는 딕셔너리에서 상품명으로 가격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려면 어떻게 할까요. 딕셔너리의 키 를 활용합니다. min() 함수와 max()함수에는 '어떤 값으로 비교'할 것인지 나타내는 key 라는 키워드 매개변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우선 상품들이 담겨있는 딕셔너리를 생성해줍니다. 딕셔너리는 { key : 값 }의 형태로 저장해요. items = [{ "상품": "어제 먹다 남은 파이", "가격": 21000 }, { "상품": "크리스마스 에디션 밤조림", "가격": 45000 }, { "상품": "우주대폭발 버튼", "가격": 72000 }] 상품을 모두 items 라고 하는 딕셔너리에 넣었..

파이썬 공부 요약 노트 3. 클래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여러 데이터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진행된다. vs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프로시저 지향) - 정해진 시나리오대로 혼자 진행한다. ex) 자동차가 움직이는 것(자율주행프로그램은 오로지 자동차가 하는 것), 바이올린을 켜는 것. def creat_student(name, korean, math, english, science): return { "name" : name, "korean" : korean, "math" : math, "english" : english, "science" : science } def student_get_sum(student): return student["korean"] + student["math"] +\ student["english"] + stude..

파이썬 공부 요약 노트 2. 변수, lambda, map()

● 변수 : 자료에다 붙이는 이름표 ● 함수 : 코드에다 붙이는 이름표 변수 형태 : 변수 = 자료 함수 형태 : def함수 () : 코드 변수를 사용할 때는 변수 이름만 적어도 되지만, 함수를 사용할 때에는 () 소괄호를 사용해야한다. (= 함수의 호출) 함수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함수를 호출했다면 실행한 뒤 원래의 데이터로 돌아간다. 함수 내부는 독립적인 지역이다. 함수 안에서 만든 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존재한다. ● 매개변수 : 함수에다가 자료 전달하기 매개변수를 사용하고 싶다면 함수를 만들 때 소괄호에다가 식별자를 추가한다. 식별자의 갯수가 매개변수의 갯수다 반환자료 : 함수로부터 자료 전달받기 반환자료는 오로지 하나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할 때에는 retrun 으로 쓴다. def 함수명(..

파이썬 공부 요약 노트 1. 자료형 ~ 반복문

● 프로그램 = 자료의 표현 + 자료의 처리 ● 자료형 : 특정 자료가 어떻게 생겼는지 정의한 것 - 기본 자료형 : 숫자, 문자열, 리스트 등 - 리스트 튜플 문자열 - 인덱싱 : n번째 요소를 참조하겠다. - 슬라이싱 : n번째부터 n번째까지 잘라내겠다. 인덱스와 슬라이싱은 반드시 0부터 시작한다. 슬라이싱 할 때 마지막 인덱스는 세지 않는다. 슬라이싱은 콩 심은데 콩 난다! 리스트에 슬라이싱 하면 리스트가 나오고 문자열에 슬라이싱 하면 문자열이 나온다. ● 변수 - 자료에 붙이는 이름표 -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 변수 이름은 자유이나, 제약사항도 있다. 변수 규칙! 1. 문자와 숫자 그리고 _ 언더바 기호만을 사용할 수 있다. 2. 변수 이름에 숫자가 들어갈 수 있으나, 숫자로 시작할 수는 ..

파이썬 공부일지 20. 파일처리!

파일은 크게 텍스트 파일와 바이너리 파일로 나뉘는데, 이번에는 텍스트 파일의 파일처리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기본적으로 파일을 열 때에는 open() 함수를 사용합니다. 파일 객체 = open(디렉토리 경로와 파일명, 문자열 읽기모드) 첫 번째 매개 변수로는 파일의 경로를 입력하고, 두 번째 매개 변수로는 파일의 읽는 방법을 지정합니다. 파일의 문자열 모드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w write 모드 (새로쓰기 모드 ) a append 모드 (이어쓰기 모드) r read 모드 (읽기 모드) 파일을 닫을 때에는 close()함수를 사용합니다. 모든 파일은 open 후에 close 를 하는 버릇을 꼭꼭 가져야해요. 우선 문자열 읽기 모드 중 w와 a모드를 확인해볼게요. w와 a모드에는 특별한 기능이 있습니..

파이썬 공부일지 19. 함수 활용 (튜플, 람다)!

다음으로 함수 관련하여 편하게 쓸 수 있는 기능들로 튜플과 람다가 있습니다. 1. 튜플 리스트와 비슷한 자료로 리스트와 다른 점으로는 한 번 결정된 요소는 바꿀 수 없다는 것입니다. a = [ 요소, 요소, 요소 ] -> 리스트 a = ( 요소, 요소, 요소 ) -> 튜플 리스트는 [] 대괄호를 쓰지만 튜플은 소괄호() 를 씁니다. (소괄호는 튜플 뿐만 아니라 연산식을 만들 때도 씁니다.) 그 안에 여러개의 자료를 넣는데 쉼표로 구분합니다. 리스트와 동일하게 인덱싱을 할 수 있습니다. 튜플과 리스트는 생김과 기능이 비슷하지만 몇 가지 차이가 있습니다. - 튜플은 값의 변경이 불가능하지만, 리스트는 값의 변경이 가능합니다. - 튜플은 요소를 하나만 가질 수 있는 리스트와는 달리 한개의 리스트를 가지기 위해..

파이썬 공부일지 18. 함수의 활용(재귀함수)!

이제부터는 앞서 배운 함수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서 공부합니다. 1. 재귀함수 재귀함수는 함수 내부에서 같은 기능을 사용하는 거예요. 재귀는 자기 자신을 호출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가령 팩토리얼 이라는 연산자가 있는데 이것을 구하는 것으로 예제를 활용해볼게요. 팩토리얼은 n! 의 기호로 사용합니다. n! = n * (n-1) * (n-2) * (n-3) ... * 1 이렇게 연산을 이어가는 것을 팩토리얼이라고 합니다. ex) 5! = 5 * 4 * 3 * 2 * 1 이렇게 팩토리얼을 구현화할 때, 반복문으로 팩토리얼을 구하거나 재귀 함수로 팩토리얼을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반복문으로 구해볼게요. def factorial(n): -> factorial () 함수를 만들어줍니다. output ..

파이썬 공부일지 17. 함수 만들기!

함수를 사용하는 것은 함수를 호출한다, 고 하고 함수를 호출할 때 괄호 내부에 넣는 여러가지 재료를 매개변수 또는 인수 또는 인자 라고 합니다. (인수라는 표현을 더 많이 씁니다.) 함수를 호출해서 최종적으로 나오는 값을 리턴값 이라고 합니다. 즉 표현식으로부터 내보내진 결과값입니다. print("금요일") 에서 print( ) 그리고 기본 매개변수의 값을 n=3 으로 입력했을 때 이것은 키워드 매개변수로 실행이 가능한 거예요. 결과값은 이렇게 나옵니다. 다음으로 리턴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함수를 실행하고 나면 함수의 결과를 받아서 사용했습니다. 그값을 우리는 리턴값 이라고 하는데요 리턴은 함수를 실행했던 위치로 돌아가라는 뜻으로 함수가 끝나는 위치를 의미합니다. return 키워드를 만나는 순간 함수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