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파이썬 입문 공부일지

파이썬 공부일지 7. 변수와 입력!

Tomitom 2022. 10. 11. 15:35
반응형

 

 

변수는 변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의미합니다. 모든 자료형의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변수는 값을 저장하기 위해 이름을 지어서 사용하는 이름표예요. 

식별자(이름표) 만드는 규칙을 한 번 더 보고 갈게요!

 

https://blue-dot.tistory.com/5?category=972433 

 

파이썬 공부일지 3. 파이썬 출력 용어들!

커피를 좀 마셨더니 덜 졸려요... 다시 공부해.. 봅니당...  파이썬을 출력하기 전에 출력에 있어서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용어들을 먼저 정리해볼게요. 영어로 말하자면 동사 명사 형용사의

blue-dot.tistory.com

 

 

변수를 활용하는 과정!

 

1. 변수를 선언합니다.

pi 를 3.14 로 사용하겠다고 변수를 선언합니다.  (pi라는 것을 3.14 로 쓰겠다고 하는 의미예요.)

 

2. 변수에 값을 할당합니다.

pi = 3.14  라고 했을 때, = 는 변수에 값을 넣는다는 의미예요. 기호가 '같다'는 의미가 아니라 변수 값을 할당한다는 의미예요. '넣겠다', '할당하겠다'의 의미라고 합니다. 컴퓨터 pc 내부에 있는 메모리에 변수 값을 저장해둡니다. 

 

3. 변수를 참조합니다. 

변수에서 값을 꺼냅니다. 3.14 를 입력하는 대신에 pi를 입력해서 pi에 저장된 3.14 라는 값을 꺼내는 거예요.

이처럼 변수 안에 이쓴 값을 사용하는 것을 변수 참조 라고 합니다. 

 

 

ex)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해서는 변수 이름을 적어주면 그 자체로 사용하겠다고 선언을 하는 거예요. (예를 들면 pi)

여기에 = 를 입력하고 값을 입력하면 이것은 값을 변수에 할당하는 것이 됩니다.

그 뒤에 저장된 변수의 값을 출력하거나 연산하면 됩니다. 

 

 

그럼 이제 변수를 대입할 때 쓰는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대입 연산자는  = 이에요. 

 

변수명 = 자료 

대입 연산자 : 오른쪽 표현식을 왼쪽 변수에 할당합니다. 

 

a = 3

a = 5 + 3  (8을 대입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럼

 

a = 3

a = a + 1  (는 3 더하기 1 이므로 값은 4. 결국 a 라는 변수는 4 를 저장한 상태로 바뀌게 됩니다.) 

 

여기까지 이해하셨다면, 그 다음으로 복합 대입 연산자가 있습니다. 

 

바로 a += 10 이라는 연산입니다. 

이것은 a가 저장한 값에 10을 더해, 그 결과를 a에 할당한다는 뜻입니다.

+= 숫자 덧셈 후 대입 
-= 숫자 뺄셈 후 대입
*= 숫자 곱셈 후 대입
/= 숫자 나눗셈 후 대입
%= 숫자의 나머지를 구한후 대입
**= 숫자 제곱 후 대입 

a = 10 

a += 10 

 

일 때  a의 값은 20 이 되는 거예요.

이건 문자 형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a= "블"
a += "랙"

 

a 의 값은 '블랙'

 

a += "보리"

 

a의 값은 '블랙보리'

 

 

 

선생님이 좋아하시는 음료래요..

 

 

 

 

 

 

 

셸에 표시되는       꺾쇠기호 >  (입력커서 깜박깜박)    이것을  프롬포트 라고 합니다. 

명령 프롬포트에 데이터를 쓸 수 있게 해주는 함수 input 입니다. 

input 안에 입력하는 내용을 프롬포트 문자열이라고 합니다.

 

 

 

input 함수를 입력하면 괄호 안의 문자열이 뜨고 종료되지 않은 상태로 대기 됩니다. 

프로그램이 실행 도중에 잠시 멈추는 것을 블록 block 이라고 하고, 입력을 해야 대기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input 함수는 사용자에게 입력을 요구하며 코드 진행을 블록하고 있는 함수예요. 

 

input 함수로 입력한 내용으로 치환, 감화할 수 있습니다. (적용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어떤 것이냐면 

 

>>> a = input("인사말을 입력하세요>"

인사말을 입력하세요 > hello

 

이렇게 하면 a라는 변수에 hello 라는 값이 저장이 되는 거예요. 

원하는 값을 입력해서 직접 지정할 수 있어요 

 

>>> a 

hello 

 

이렇게 input 함수로 나오는 값을 리턴값이라고 합니다.

input () 함수는 사용자가 무엇을 입력해도 결과는 무조건 문자열 자료형이에요. 

input 함수의 반환 값은 언제나 문자열! (예외없이!) 

 

input 으로 입력받은 숫자로 사칙연산을 하고 싶을 때에는 반드시 입력받은 숫자를 문자열에서 숫자열로 변환해주어야 합니다. 이것을 '변환' 혹은 '캐스트'라고 합니다.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할 때에는

int () 함수와 float () 함수를 사용합니다. 

 

int ()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변환cast 합니다.

float () 문자열을 실수형으로 변환cast 합니다. 

이것은 숫자를 표현한 문자열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쌍따옴표 안에 있는 문자형 1234를 숫자 1234로 캐스트했습니다. 

만약 숫자가 아닌 문자형을 입력하면 단박에 예외가 발생합니다. 

 

적용될 수 없는 문자열이 들어갔다구 합니당..

 

그래서 필수적으로 input 함수로 숫자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int 함수가 들어가야 합니다. 

 

string_a = input("입력A>")
int_a = int(string_a)

string_b = input("입력B>")
int_b = int(string_b)

print("문자열 자료:", string_a + string_b)
print("숫자 자료:", int_a + int_b)
 
 
 
 

 

string_a,b 는 문자열을 연결하기 위해, int_a,b는 숫자를 더하기 위한 변수예요. 

 

계산 값은 a를 456 , b를 1 로 입력했을 때 

 

 

요러케 나옵니다. 문자열은 연결되어서 숫자형은 더해져서! 정수형으로 나왔지요. 

이것은 실수도 마찬가지로 값을 얻어냅니다. 

정수가 int() 함수였다면 실수는 float() 함수예요. 

 

input_a = float(input("첫 번째 숫자>"))
input_b = float(input("두 번째 숫자>"))

 

print("덧셈 결과:", input_a + input_b)
print("뺄셈 결과:", input_a - input_b)
print("곱셈 결과:", input_a * input_b)
print("나눗셈 결과:", input_a / input_b)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사칙연산을 모두 해보겠습니다. 값은 아래와 같이 실수형으로 나옵니다.  

 

 

 

만약 자료형을 변환할 때 변환할 수 없는 것을 변환하려고 하면 ValueError 가 발생합니다. 

이것은 숫자가 아닌 것을 숫자로 변환하려고 할 때 발생하거나 

소수점이 있는 숫자 형식의 문자열을 in() 함수로 변환하려고 할 때 발생해요. 

 

그 반대로 숫자를 문자열로도 바꿀 수 있습니다. 

str(다른 자료형) 함수를 활용하면 돼요. 

 

str 은 숫자를 문자형으로 기록하는 것이에요.

output_a = str(52)
output_b = str(52.154)

print(type(output_a), output_a)
print(type(output_b), output_b)
기재했을 때 결과값은 하단과 같습니다. 

모두 문자열을 의미하는 'str'로 표기가 됩니다. 

우선 여기까지 정리한 후에 실제로 예제를 작성해볼게요! 

반응형